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LA시 재정난…수천명 해고 불가피…올해 10억 달러 적자 전망

LA시가 무려 10억 달러 규모의 재정 적자를 예고하고 대규모 정리해고가 불가피할 가능성을 시사해 논란이 예상된다.     LA시 행정책임자(CAO) 맷 자보는 19일 “재정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수천 명을 해고할 수도 있다” 며 “시장과 시의회가 대대적인 비용 절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동시에 자보는 “단순히 수십 명, 수백 명이 아니라, 수천 명의 해고가 예상된다”고 예고했다.     예산 적자의 주요 원인은 예상보다 낮은 세수 감소 (3억1500만 달러), 각종 법적 배상금 증가 (총 3억2000만 달러 도달 전망), 비상 예산 복구 필요(2억7500만 달러), 고형 폐기물 수거 비용 증가(8000만 달러 증가 예상), 경찰 및 소방관 연금 부담 증가(1억 달러), 시 공무원 급여 인상(2억5000만 달러 증가 예상, 7월 1일부터 시행) 등이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법적 배상금 지출이 급증하면서, 시 예산 부담이 커지고 있다. 2024-25 회계연도 말까지 총 배상금 규모는 3억2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LA시 법무국은 주 의회와 협력하여 배상금 상한선을 설정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7월 1일부터 시 공무원 급여 인상이 시행될 예정으로, 이로 인한 추가 비용은 2억50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시의회는 경찰, 소방관, 쓰레기 수거 직원, 사서 등 공무원 노조와 계약을 조정하거나 급여 인상을 연기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시 살림이 위기를 맞이한 배경에는 미봉책으로 일관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LA시는 최근 몇 년 동안 비상 예산을 사용하며 재정 위기를 버텨왔다. 그러나 현재 비상 예산이 전체 일반 예산의 3.22%까지 감소, 최저 기준인 5%를 크게 밑돌고 있다.   비상 예산이 2.75% 아래로 내려가면 ‘재정 비상사태’가 선언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산 지출 시 시의회 과반수 동의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시 회계 감사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25 회계연도 말 예상 세수는 목표보다 1억4000만 달러 부족할 전망이다.   시는 재정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쓰레기 처리 요금 인상 가능성을 논의 중이며, 일부 의원들은 사업세 및 판매세 인상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다.     시의회는 이번 재정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강력한 긴축 조치를 추진할 계획이며, 공공 서비스 및 시 운영 방식에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최인성 기자 ichoi@koreadaily.com재정난 수천천 예산 적자 대규모 정리해고 재정 적자

2025-03-20

가주 내년 680억불 적자 예상…뉴섬 "의료계 임금체계 수정"

가주 정부의 내년 재정적자가 680억 달러로 전망되면서 개빈 뉴섬 주지사가 최다 지출이 예상되는 의료계 임금 인상 체계를 일부 수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LA타임스의 7일 보도에 따르면 최근 초당적 기관인 입법분석실은 가주가 2024~25 회계연도까지 680억 달러의 재정 적자를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에린 멜론 가주 대변인은 “올해 연방정부의 세금보고 지연으로 인해 주 정부는 실제 세수액이 아닌 예측을 바탕으로 예산을 통과시켰다”며 “2022년 세금 보고 마감이 11월까지 연장되면서 세수에 대한 명확한 근거없이 지난 7월에 예산안을 만들면서 재정 전망이 평소보다 늦게 발표됐다”고 설명했다.   뉴섬과 주의회 의원들은 올해 여름 주 정부 예산에서 300억 달러 이상을 삭감했지만, 추가적인 세입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뉴섬 지사는 110억 달러의 기존 지출을 포함해 총 190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는 수십 건의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바 있다.   최근 발표된 주 재무국의 예산 평가에 따르면 의료계 최저 임금 인상안 ‘SB525’는 주지사의 서명을 받은 마지막 법안 중 하나로 가장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법안으로 알려졌다.   SB525는 대규모 의료시설 최저 임금을 2024년 6월부터 시간당 23달러, 2025년에는 시간당 24달러, 2026년에는 25달러 등으로 인상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법안은 병원 내 의료진뿐만 아니라 간병인, 세탁소 직원과 선물 가게 등 모든 직원에게 적용된다.   뉴섬 지사가 해당 법안을 서명한 후 지난 11월 법 시행에 따른 2024~25년 소요 예산 추정치가 40억 달러로 평가되면서 주 정부는 당혹스러움을 표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주의회 회기 막바지에 병원 로비스트와 노조들과 논쟁을 거치며 상당한 수정을 거치면서 합의가 지연됐고, 결국 막판 투표가 이루어지기 전 면밀한 재정 분석이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특히 이 법에는 만약 경기 침체가 왔을 때 주 정부가 임금 인상을 연기할 수 있는 유연성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뉴섬 지사는 지난주 절충안 마련을 시사하면서 “노조 대표들과 (법안) 서명 전 합의한 것의 일부”라며 “내년에 주 의원들에 의해 승인을 거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동시에 “우리는 재정 상황을 정확히 알고 있으며 몇 주안으로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식이 알려지자 주지사가 인상된 최저 임금 대상자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갓인지, 아니면 인상을 연기하거나 일시 중단하려는 계획인지 확실하지 않아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LA타임스는 전했다.   한편 뉴섬 주지사는 내년 1월 10일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장수아 기자 jang.suah@koreadaily.com임금체계 의료계 내년 재정적자 의료계 임금 재정 적자

2023-12-07

뉴욕시 상업개선구역(BID) 재정 운용 엉망

뉴욕시 주요 지역의 상권 발전을 위해 만들어진 경제개발구역(BID: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s) 단체 중 상당수의 재정 운용이 통제불능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브래드 랜더 시 감사원장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뉴욕시 전역에는 ▶브롱스 12개(벨몬트·포담로드·화이트플레인스로드 등) ▶브루클린 23개(아틀랜틱애비뉴·브라이튼비치·플랫부시애비뉴 등) ▶맨해튼 26개(34스트리트 파트너십·브라이언트파크코프·차이나타운·타임스스퀘어 얼라이언스 등) ▶퀸즈 11개(베이사이드 빌리지·다운타운 플러싱 트랜짓허브·롱아일랜드시티 파트너십 등) ▶스태튼아일랜드 4개(포리스트애비뉴·사우스쇼어 등) 총 76개의 경제개발구역이 조직돼 운영되고 있다.   특히 이중에는 ▶다운타운 플러싱 트랜짓허브(Downtown Flushing Transit Hub) ▶베이사이드 빌리지(Bayside Village) ▶34스트리트 파트너십(34th Street Partnership) 등 한인들이 많이 살고 있거나, 다수의 사업체가 있는 경제개발구역도 있다.     그러나 뉴욕시 감사원이 이들 경제개발구역들의 재정 운용 실태를 정밀 조사한 결과 최근 5년 연속으로 적자를 보고 있다고 보고한 14개 경제개발구역의 적자 원인이 부적절한 재정 관리(inadequate financial controls)와 통제되지 않은 과다지출(unchecked overspending) 등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뉴욕시 경제개발구역들은 일정 지역의 부동산 소유주 또는 사업체로부터 운영비를 받아 ▶청결 서비스 ▶거리 환경 개선 ▶범죄 예방을 위한 순찰활동 ▶고객 유치와 지역 홍보를 위한 이벤트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재정 적자가 심각하게 누적되고 있는 14개 경제개발기구의 재정 기록을 보면 거의 대부분 공통적으로 ▶경영을 맡은 간부 직원(staff)의 급여가 과도하게 많고 ▶단체와 사업의 관리 비용(administrative costs)이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부동산 소유주와 사업체의 지원금을 받아 상권 발전을 도모한다는 경제개발구역 단체들이 내부적으로는 방만한 재정 운용을 하고 있음이 드러났다며 행정적으로 또는 자체적인 통제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박종원 기자 park.jongwon@koreadaily.com상업개선구역 재정 재정 운용 뉴욕시 경제개발구역들 재정 적자

2023-07-1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